brokebutbusy 님의 블로그

정부지원 및 연구사업 공고 소식과 제안서 작성 꿀팁

  • 2025. 3. 17.

    by. brokebutbusy

    목차

      2025년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분석

      1️⃣ 사업 개요

      • 사업명: 2025년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분석
      • 사업기간: 계약일 ~ 2025년 11월 28일
      • 예산: 130,000,000원 (VAT 포함)
      • 주관기관: 바이오헬스혁신본부 /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 사업목적:
        •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진국 및 유망국 산업 동향 분석
        • 정부 및 민간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최신 기술·정책·산업 정보 제공
        • 국가별 바이오헬스 산업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채널 구축

      2️⃣ 사업 주요 내용

      ①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 제공 대상국: 미국, 유럽(EU), 아시아 등 주요 바이오헬스 선진국 및 유망 해외 진출국
      • 제공 내용:
        • 국가별 바이오헬스 산업의 최신 정책 및 기술 동향
        • 글로벌 기관 및 언론에서 발표한 주요 연구보고서 요약
        • 바이오헬스 산업 4대 카테고리 분석
          1. 정책 및 산업 동향 (FOCUS)
          2. 의료 서비스 (Healthcare Services)
          3. 디지털 헬스케어 (AI, 빅데이터, 디지털 치료제 등)
          4. 제약·의료기기·화장품 (Pharmaceuticals, Medical Devices, Cosmetics)
      • 제공 방식 및 빈도:
        • 주간 보고서 제공 (20페이지 내외, PDF/HWP 파일)

      ②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이슈분석 심층보고서

      • 목적: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의 사회·경제·기술적 변화를 반영한 정책 및 아젠다 발굴
      • 분석 방법:
        • 주요 단체, 국제기구, 글로벌 리서치 기관, 컨설팅사, 애널리스트 자료 수집
        •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경쟁국 산업 심층 분석
      • 제공 방식 및 빈도:
        • 분기별 5회 발간 (각 35페이지 내외, PDF/HWP 파일)
        • 내부 검토회의 및 전문가 리뷰 진행

      ③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 이용자 만족도 조사

      • 목적:
        • 보고서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 및 개선 방향 도출
        • 이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피드백 수집
      • 조사 방식:
        • KHIDI 홈페이지,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그) 활용
        • 대량 이메일 발송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 진행
        • 응답자 중 추첨을 통해 답례품 제공

      3️⃣ 제안 요청 사항

      ① 연구 방법론

      • 해외 바이오헬스 정보서비스의 유사 사례 비교 및 벤치마킹
      • 신뢰성 있는 글로벌 데이터 소스를 파악하여 보고서의 전문성 확보
      • 객관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정보의 선별 및 가공

      ② 보고서 제작 기준

      • 전문성 있는 보고서 체계 및 작성 방식 정립
      • 보고서 디자인, 편집 규격, 도표 및 그림 활용 가이드라인 수립

      ③ 연구 결과물

      구분제공 내용발간 주기분량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 분석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주요 이슈 및 정책 정리 주 1회 20페이지 내외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이슈분석 심층보고서 주요 국가별 바이오헬스 정책 및 기술 심층 분석 분기별 5회 35페이지 내외
      이용자 만족도 조사 보고서 이용자의 피드백 및 개선점 조사 1회 온라인 조사

      4️⃣ 사업 추진 체계

      •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 사업 기획 및 관리, 연구 결과물 검토 및 승인
      • 수행기관:
        •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월 1회 이상 발주기관 협의 및 검토회의 참여

      5️⃣ 입찰 및 평가 기준

      ① 참가 자격

      • 나라장터에 학술·연구용역(업종코드 1169) 등록된 기관
      • 중소기업 및 비영리법인 참여 가능

      ② 입찰 방식

      • 제한 경쟁 입찰 (총액 협상 계약)
      •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 적용
      • 공동 이행 계약(컨소시엄) 가능

      ③ 평가 기준

      평가 항목주요 내용배점
      기술평가 (70%) 사업 이해도, 연구 수행 능력, 보고서 품질, 사업 관리 능력 70점
      가격평가 (30%) 조달청 기준에 따른 가격 평가 30점
      • 기술 평가 85% 이상(59.5점 이상) 득점한 기관만 협상 대상 선정

      6️⃣ 계약 및 기타 사항

      ① 계약 조건

      • 계약 후 선급금 지급, 최종 보고서 제출 후 잔금 지급
      • 연구 결과물(지식재산권)은 발주기관과 수행기관 공동 소유

      ② 보안 유지

      • 연구 수행 중 취득한 정보는 외부 유출 금지
      • 발주기관 승인 없이 산출물 복제 및 배포 금지

      ③ 기타 유의 사항

      • 제안서 작성 및 제출 관련 모든 비용은 입찰 참가자 부담
      • 제안서의 모든 내용은 객관적으로 입증 가능해야 함

      "2025년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분석" 연구는 바이오헬스 선진국 및 해외 유망국의 최신 기술·정책·산업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정부 및 민간의 해외 진출 전략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 핵심 목표
      ✅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 분석 및 정보 제공
      ✅ AI·디지털 헬스케어·제약·의료기기 등 핵심 R&D 트렌드 파악
      ✅ 국가별 바이오헬스 시장 및 정책 변화에 대한 맞춤형 보고서 제공
      ✅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의 해외 진출 지원

      그렇다면, 해외에는 어떤 바이오헬스 정보서비스가 있을까요?

      1. 글로벌 정부기관 및 공공 연구소

      기관명설명웹사이트
      NIH (미국 국립보건원) 미국 보건 연구 개발의 핵심 기관으로 바이오헬스 연구 동향 및 프로젝트 정보 제공 nih.gov
      FDA (미국 식품의약국) 신약 승인, 의료기기 규제, 바이오 연구 동향 발표 fda.gov
      EMA (유럽의약품청) EU의 신약 승인 및 바이오 관련 규제·기술 동향 발표 ema.europa.eu
      PMDA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 일본의 바이오 및 제약 산업 연구 및 규제 동향 발표 pmda.go.jp
      WHO (세계보건기구) 글로벌 보건 트렌드, 감염병 연구,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제공 who.int
      OECD Bioeconomy 바이오경제 관련 국제 통계 및 연구 자료 제공 oecd.org

      2. 글로벌 산업 분석 및 컨설팅 기관

      기관명설명웹사이트
      IQVIA 글로벌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및 R&D 컨설팅 제공 iqvia.com
      Frost & Sullivan 바이오·제약·헬스케어 시장 분석 및 산업 전망 보고서 제공 frost.com
      McKinsey & Company 글로벌 바이오헬스 및 제약·의료기기 산업 전략 리포트 제공 mckinsey.com
      BCG (Boston Consulting Group) 헬스케어 및 바이오테크 산업 전망 및 글로벌 트렌드 분석 bcg.com
      CB Insights AI 기반 바이오헬스 및 헬스테크 스타트업 트렌드 분석 cbinsights.com

      3. 글로벌 바이오·제약 연구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명설명웹사이트
      PubMed 미국 NIH 산하 생명과학·의학 논문 데이터베이스 pubmed.ncbi.nlm.nih.gov
      ClinicalTrials.gov 글로벌 신약 임상시험 진행 현황 데이터베이스 clinicaltrials.gov
      Pharmaprojects (Citeline) 글로벌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분석 및 제약산업 동향 제공 citeline.com
      GlobalData Healthcare 글로벌 헬스케어 및 바이오 기업 정보, 산업 분석 리포트 제공 globaldata.com
      STAT News 바이오헬스 및 제약·바이오테크 스타트업 관련 최신 뉴스 제공 statnews.com

      4. 디지털 헬스 및 AI 기반 바이오 연구 기관

      기관명설명웹사이트
      MIT Health Sciences & Technology MIT의 바이오 및 헬스테크 연구 프로젝트 제공 hst.mit.edu
      Harvard Wyss Institute 바이오엔지니어링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연구 wyss.harvard.edu
      Stanford Medicine AI in Healthcare 의료 AI 및 헬스케어 빅데이터 연구 ai.stanford.edu
      DeepMind Health 구글 DeepMind의 AI 기반 의료 솔루션 연구 deepmind.com
      Eric Topol’s Lab AI 및 디지털 헬스 연구 topol-lab.org

       

      요약: 우리나라가 참고할 수 있는 해외 바이오헬스 정보서비스

      1️⃣ 정책 및 산업 동향 파악:
      ✅ NIH, FDA, EMA → 글로벌 헬스케어 정책 변화 및 신약 승인 흐름
      ✅ WHO, OECD → 글로벌 바이오헬스 통계 및 연구 트렌드

      2️⃣ 산업 분석 및 시장 전망:
      ✅ IQVIA, Frost & Sullivan →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분석
      ✅ McKinsey, BCG → 바이오헬스 스타트업 및 혁신 기업 트렌드

      3️⃣ 신약 개발 및 임상 정보:
      ✅ ClinicalTrials.gov, PubMed → 최신 신약 임상 연구 동향
      ✅ Pharmaprojects →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R&D) 진행 현황

      4️⃣ 디지털 헬스 및 AI 연구:
      ✅ MIT, Harvard Wyss → 바이오 및 의료 AI 연구
      ✅ DeepMind, Stanford Medicine → AI 기반 헬스케어 기술